News / Information

뉴스/안내

보도자료

Press Release

보도자료

경총, 「MZ세대가 생각하는 괜찮은 일자리 인식조사」 결과 발표
등록일2022-05-17작성자고용정책팀조회수850
조회수850
첨부

[경총_보도자료] 경총, 「MZ세대가 생각하는 괜찮은 일자리 인식조사」 결과.hwp

[참고] MZ세대가 생각하는 「괜찮은 일자리」 인식조사 결과.hwp

MZ세대, 일자리 선택 시 「워라밸」이 가장 중요

괜찮은 일자리는 「수도권」에서 근무하고, 연봉은 「3천만원대」


- 경총, 「MZ세대가 생각하는 괜찮은 일자리 인식조사」 결과 발표 -


■ MZ세대가 생각하는 괜찮은 일자리의 조건


   ‣ 판단기준 : 「일과 삶의 균형이 맞춰지는 일자리」 66.5%

   ‣ 지역 : 「수도권」 50.7%   ‣ 연봉수준 : 「3,000만원대」 50.9% 


■ 응답자의 82.6%가 「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 있음」이라고 답했고,응답자의 60.0%는 「괜찮은 일자리라면 비정규직이라도 취업할 의향 있음」이라고 답변

 

□ 한국경영자총협회(회장 손경식, 이하 경총)는 MZ세대 구직자* 1,000명(응답자 기준)을 대상으로 「MZ세대가 생각하는 괜찮은 일자리 인식조사」 결과를 5월 17일 발표했다. 조사 결과에 따르면 MZ세대는 ‘일과 삶의 균형’이 맞춰지고 ‘수도권’에 위치하며, 연봉 ‘3,000만원대’를 기대할 수 있는 일자리를 ‘괜찮은 일자리’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  * 전국 20~39세(1984년생~2003년생) 남녀 


 ➊ (괜찮은 일자리의 판단기준) ‘일과 삶의 균형이 맞춰지는 일자리’라는 응답이 66.5%, ‘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일자리’라는 응답이 43.3%로 높게 나타났다.

  - 그 외 응답은 ‘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는 일자리’ 32.8%, ‘회사 분위기가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일자리’ 25.9% ‘정년보장 등 오래 일할 수 있는 일자리’ 14.0%, ‘기업 및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높은 일자리’ 12.4% 순으로 집계되었다. 

  ⇒ 이를 통해 워라밸을 추구하며, 물질적 보상보다는 개인적 시간의 확보를 선호하는 실리적인 MZ세대의 특징을 엿볼 수 있음. 


< MZ세대의 「괜찮은 일자리」 판단 기준 >

주 : 복수응답, 각 항목의 비중의 합이 100을 초과

(괜찮은 일자리의 연봉수준) ‘3,000만원대’라는 응답이 50.9%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, 그 외 ‘4,000만원대’라는 응답은 27.6%, ‘5,000만원 이상’이라는 응답은 12.2%, ‘2,300(2022년 최저임금 수준)~3,000만원‘이라는 응답은 9.3% 순으로 집계되었다.
 
< MZ세대가 생각하는 「괜찮은 일자리」의 연봉 수준 > 

괜찮은 일자리의 지역, 예상 근속기간, 기업 규모
   - (괜찮은 일자리의 지역) ‘수도권’이라는 응답이 50.7%로 가장 높았고, 그 외 응답은 ‘위치와는 상관없음’ 37.7%, ‘지방’ 11.6% 순으로 집계되었다. 
    ※ 지방 거주자의 경우 ‘위치와는 상관없음’이라는 응답이 53.6%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, ‘수도권’이라는 응답은 24.0%로 집계

< MZ세대가 생각하는 「괜찮은 일자리」의 지역 > 


   - (괜찮은 일자리에서의 예상 근속기간) ‘10년 이내’라는 응답이 35.1%로 가장 높았고, 그 외 응답은 ‘정년까지 계속’ 29.8%, ‘10~20년’ 27.6%, ‘20년 이상’ 7.5% 순으로 집계되었다.

< MZ세대가 생각하는 「괜찮은 일자리」에서의 예상 근속기간 > 

   - (괜찮은 일자리의 기업 규모) ‘기업 규모는 중요하지 않다’는 응답이 29.1%로 가장 높았고, 그 외 응답은 ‘300~999인’ 26.0%, ‘100~299인’ 25.6%, ‘100인 미만’ 12.6%, ‘1,000인 이상’ 6.7% 순으로 집계되었다.

(중소기업 및 비정규직 취업 의향) 응답자의 82.6%가 ‘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있다’고 답변했다. 또한 응답자의 60.0%가 ‘괜찮은 일자리라면 비정규직이라도 취업할 의향이 있다’고 답했다.
   ⇒ 이는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MZ세대 구직자의 수요가 상당히 높다는 점을 시사

 ➎ 괜찮은 일자리의 비중, 유망 산업부문
    - (전체 일자리 대비 괜찮은 일자리 비중) ‘10% 내외’라는 응답이 39.0%, ‘10~20%’라는 응답이 36.4%로 나타났다.
    ※ 그 외 응답은 ‘20~30%’ 19.2%, ‘40% 이상’ 5.4% 순으로 집계 

< MZ세대가 생각하는 전체 일자리 대비 「괜찮은 일자리」 비중 >

 
   - (괜찮은 일자리가 많이 생겨날 산업부문) ‘IT·정보통신’이라는 응답이 35.4%로 가장 높았고, 그 외 응답은 ‘환경·에너지(배터리 포함)’ 20.4%, ‘바이오·헬스’ 11.5%, ‘반도체’ 10.3%, ‘문화콘텐츠’ 10.1% 순으로 집계되었다.

□ 경총 임영태 고용정책팀장은 “이번 조사를 통해 워라밸을 추구하며 실리를 중시하고, 공정에 민감한 MZ세대의 특징을 엿볼 수 있었다. 특히 한 직장에서만 일하고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는 전통적 일자리 개념이 변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”며, “MZ세대의 노동시장 진입과 복귀에 부담이 없도록 유연성을 높이는 동시에 고용안전망도 촘촘히 짤 필요가 있으며, 새롭게 등장하는 산업과 다양한 모습의 일자리에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과 고용서비스 강화도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